제80년 광복절 기념 독립유공자 후손 대한민국 국적증서 수여식

작성일
2025.08.20
조회수
725
담당부서
국적과
제80년 광복절 기념 독립유공자 후손 대한민국 국적증서 수여식  첨부 이미지

광복 80주년 법무부 국적증서로 영웅과 후손을 잇다 제80년 광복절 기념 독립유공자 후손 대한민국 국적증서 수여식



광복 80주년 법무부 1421명 2004년부터 현재까지 대한민국 국적을 부여받은 독립유공자 후손 수 2025년 8월 12일, 법무부는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제80년 광복절 기념 독립유공자 후손 대한민국 국적증서 수여식을 개최하였습니다.



광복 80주년 법무부 박찬익 (1884~1949) 한국인 학교 설립 등 민족운동 전개 1918년 대한독립선언 39인 중 한 명으로 서명 임시정부 주요 인사로 활동 1919년 3·1운동 후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에 참여 임시정부 수립



광복 80주년 법무부 허주경 (1878~1920) 만주로 이주하여 북간도의 길림성 엔지현(연길) 일대에 거주하며 독립운동 전개 학병 회령 부근에서 항일활동을 하던 중 일본군과 교전하다 순국  신홍균 (1881~1940) 원종교 및 대진단 소속으로 항일운동 전개 1933년 대전자령 전투에 참가하여 큰 전과를 함 1930년대까지 항일활동 지속, 독서회 등을 개최하여 한인들의 항일사상 고취  최찬식 (1891 추정~1926)  1920년 연해주 주쿄 구역에서 항일무장 독립운동 단체 조직 한국공산당 총사령부 참모부 무기과장으로 활동  전일 (1893~1938) 기독교계 유력 독립운동가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시기, 한인신보사 서기·기자로서 항일언론 활동



광복 80주년 법무부  치도선 (1863~1939) 의병장으로 활동 1919년 총의사 조직, 무장투쟁 지속  최문무 (1879~1942) 대한북로독군부 제대장으로 무장투쟁 전봉 봉오동 전투참여, 간도 각지에서 군자금 모집 활동 전개  이여송 (출생연도 미상~1936) 조선혁명군에 가담하여 항일무장투쟁 참여 조선혁명군에서 부여군으로서 무기 구입을 담당, 군사물자 확보  이명순 (1872~1920년경) 독립선언식과 만세운동을 주도 대한독립군 창설에 참여  간도 대한국민회 대표로 독립군단 조직에 기여



광복 80주년 법무부 독립자금  이du일 (1873 추정 ~ 1920)  대한국민회 회원으로 군자금 모집, 통신·첩보 등 활동  윤낙세 (1877 ~ 1929) 1922년 훈춘현에서 독립운동자금 모집  신을노 (1894 ~ 1966) 1919년부터 1945년까지 독립운동자금을 지속적으로 지원  이승춘 (1882 ~ 1947) 1931년부터 해방 때까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



광복 80주년 법무부 독립자금 만세운동  강대년 (1894~1929) 1919년 3·1운동 참여 1919년 3월 1일 만세 시위에 교사·학생들과 동참  정갑이 (1879~1975) 1919년 의성 안평면 일대에서 5일간 밤낮으로 독립만세운동 주도 3월 19일에는 4000여 명과 함께 시위, 만세운동을 확산 시킴  박진성 (1878~1925) 1919년 3월 21일 안동 임동면 평광남녘에 500여 명이 참여한 독립만세운동 주도  박용식 (1902~미상) 1919년 3월 21일 평화시장 만세운동에 참여하여 독립만세를 선창하고 시위에 동참



광복 80주년 법무부 법무부는 앞으로도 독립유공자 후손을 지속 발굴하여, 조국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
이전글
전자여행허가제(K-ETA) 유사 웹사이트 주의 2025-08-12 17:54:03.0
다음글
재외동포 국내 체류자격 통합 및 동포체류지원센터 확대 2025-08-20 11:07:08.0
법무부의 해당 저작물은 "공공누리 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법무부의 해당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법무부의 해당 저작물은 "공공누리 3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법무부의 해당 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