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장관님! K-Voting 정말 대단요...실시간 방송 시작후 5분만에 예상한 득표율과 발표 결과가 거의 일치할 수 있다니...진짜 대단하네요...

작성자
손지현
작성일
2023.03.09
조회수
89
국민의 힘! 3차 전당대회 실시간 방송을 미디어F라는 유튜브에서 구독자들하고 같이 시청하면서 지난 대선였던 옥은호 대표분이 실방시작하고 5분도 안돼서 국민의 힘 득표율이 이렇게 조작할 것이라고 경선득표율을 예상했었는데 경선결과와 약간의 오차는 있었으나, 거의 일치했다네요...

미디어F 옥은호 대표 예상치로 김기현 54.3%, 안철수 21.5%, 천하람 15.2%, 황교안 9% 로 만들꺼라 예상했었는데 실제 발표결과 김기현 52.93%, 안철수 23.37%, 천하람 14.98%, 황교안 8.72%로 거의 예상이 적중했네요

옥은호 후보의 차후 설명에 의하면 3.9대선에서 이재명이 0.51%로 이긴다고 했다고 해서 그 값을 적용하려다, 그것보다는 높게 책정하지 않을까! 해서 좀 더 높게 적용해서 김기현 54.3%라는 수치가 나왔다고 설명해주네요~미디어F에서 실방했던 거라 지금도 미디어F에서 확인이 가능함.

거기다 제3차 전당대회가 열리기 전부터 이미 신혜식tv에 신혜식 대표가 52%를 예상하는 방송을 했었다네요
그리고 국민의 힘! 경선 하루가 지난 시점에도 선거인 수 득표율을 예상했던 예언가도 있었다고 하고요...

역시 K-Voting이 조작이 가능해서 부정경선과 부정선거에
악용될 수 있어 안된다고 하더니 사람들의 우려가 국민의 힘 경선에서 확인되었네요

그리고 후보당 참관인을 1명으로 제한하는등 악조건 속에서도 부정경선 증거들을 찾아냈다는데 감동요~역시 공안검사 출신이라고 하더니 황교안 대표의 조직력 또한 대단하고, 부정경선 증거들을 찾아낸 전문가분들도 대단하고, 전문가들이 제시한 데이타를 가지고 국민들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시는 공병호 박사님도 대단하네요...

이 모든 게 4.15부정선거와 3.9대선으로 터득해 낸 노하우와 실력이겠지요...

1. 미디어F - 국민의힘 3차 전당대회 실방 방송 5분만 당대표 선거득표율 조작수치를 예상함
2. 황교안tv - 참관했던 프로그램 전문가분들의 증언과 후보들쪽에 실시간 득표율을 보내줬던 영상등을 올려놓음
3. 공병호tv - 데이타 분석결과 40,50,60식으로 10단위로 일괄적 늘어난 데이타 수치등을 가지고 부정경선 증거를 분석.

진짜 K-Voing 모바일 투표가 당원들이나 국민들의 투표와 무관한 결과치를 낼 수 있다는 것을 국민의힘 경선선거로 입증!

거기다 1분단위로 표시된 막대가 시간이 지나갔는데도 이전 시간 막대의 선거인수 변경이 사라졌다 생겨나면서 꾸준히 늘어나기도 하고,(과거 시간에 막대에 선거인수가 계속 늘어나고 있음) 합계 득표율과 PC득표율과 모바일 득표율의 합이 일치해야 되는데 0.1%의 차이가 많은 곳에서 발생되고 있음

부정경선을 하려면 좀 제대로 좀 하지! 증가수치가 40, 50, 60식으로 10단위에 선거인수 늘어나거나 선거인수 맨끝자리(일의자리)가 1로 쭉 일치하거나 3으로 몇십개가 쭉 일치하다가 5로 쭉 일치하고... 데이타 값을 맞추지 않으면 도저히 나올 수 없는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는데도,

총선에서도 K-Voting 모바일 투표를 고안하려고 한다니...이젠 아예 대놓고, 부정선거를 하겠다는 건지...

부정선거가 발생해서 폭동사고가 난 곳에 공통점이 한국산 전자개표기를 사용했다고 하던데요...이제는 K-Voting까지 합세해서 국민의힘 경선처럼 대놓고, 부정선거를 하려하고 있으니...

앞으로 선거제도는 국민들이 투표한 결과와는 무관하게 모바일 투표( K-Voting)로 미리 결정된 후보를 당대표! 국회의원! 대통령! 을 만들겠지요...수개표를 하면 부정경선과 부정선거를 막을 수 있다는데 큰일이네요
이전글
한동훈 법무부장관님 열정에 찬사를 보냅니다~ 그런데 법은 힘없는 국민들에게만 적용되는거죠??? 2023-03-08 21:50:09.0
다음글
화성 직업 훈련소 건축 설비 CAD 서인원 선생님^^ 2023-03-11 22:06:08.0
법무부의 해당 저작물은 "공공누리 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법무부의 해당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법무부의 해당 저작물은 "공공누리 3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법무부의 해당 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